디지털 자산 시세 예측에 챗GPT 활용
디지털 자산 시세 예측에 챗GPT 활용

디지털 자산 시세 예측에 챗GPT 활용

챗GPT 열풍이 거세다. 챗GPT는 지난해 11월, 오픈AI가 공개한 전문 인공지능 챗봇이다. 사용자가 웹상의 대화창에 텍스트를 입력하면 그에 맞춰 대화를 함께 나누는 서비스로, 공개 단 5일 만에 하루 이용자가 100만명을 돌파하면서 돌풍을 일으키는 중이다.

특히 질문에 대한 답변은 물론 논문 작성, 번역, 노래 작사·작곡, 코딩 작업 등 광범위한 분야의 업무 수행까지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존 AI와는 다르다. 심지어 기업 회의록까지 챗GPT를 통해 작성하는 일이 발생해 챗GPT를 업무에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해프닝까지 일어났다.

챗GPT 활용 범위가 넓어지면서 가상화폐 등 디지털 자산 시장에도 챗GPT를 활용하는 기업이 등장했다. 디지털 자산 시장 감지 앱 ‘코싸인(Cosign)’을 운영하는 랩투아이가 주인공이다.

랩투아이, 디지털자산 시장 주요 이벤트 발생 시 자동으로 보고서 반영

랩투아이는 디지털 자산 시세, 온체인 거래 데이터를 분석해 보고서를 작성할 때 챗GPT를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지난 4월 초 출시했다.

랩투아이가 내놓은 플랫폼 ‘코싸인’은 특정 가상화폐 예상 가치, 시세와 수익률, 적중률 등을 투자자에게 실시간으로 제시한다. 딥러닝 기반의 수많은 AI가 각자의 알고리즘으로 시황을 분석하는 AI 보고서를 제공한다. 다른 AI 투자 예측 서비스와 달리 코싸인은 AI 모델의 학습 데이터, 예측 방법이 전부 공개돼 투자자들이 객관적인 투자 판단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랩투아이는 자체적으로 보유한 고도의 프롬프트(입력·prompt) 엔지니어링 기술을 활용해 챗GPT를 현재 서비스 중인 코싸인 앱에 도입했다. 디지털 자산 시세, 온체인 거래 데이터를 분석해 중요 이벤트를 자동으로 추출, 자동 투자 보고서를 작성하는데 성공했다.

기존에 개인 투자 성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에게 직접 설문 방식의 질의를 통해 개인의 투자 성향을 분석했다. 하지만, 이번 챗GPT 도입으로 투자자 개인이 이용하는 거래소의 데이터 연동을 통해 더욱 간편하고 정확한 분석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됐다. 보다 빠르고 정확한 보고서 분석으로 의사 결정을 할 때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챗GPT 도입은 하루아침에 이뤄진 일은 아니다. 현재 공개된 챗GPT의 API 모델은 많은 양의 데이터를 그대로 입력하면 원하는 결과물을 얻기 힘들고 수학 계산이나 통계량, 차트 도출 등에 취약한 면이 있었다. 높은 수준의 결과물을 얻기 위해서는 챗GPT의 생성 능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기술이 필수다. 챗GPT는 초거대 언어 모델 GPT를 기반으로 한 채팅 형태의 앱으로 자연어 생성 과업에 놀라운 성과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오종환 랩투아이 대표는 데이터 분석에 GPT-3.5 기반의 챗GPT를 직접적으로 사용하는 건 어려움이 있다고 설명한다. 오 대표는 “금융 분야 데이터의 경우 알려진 프롬프트의 크기 제한보다 큰 데이터인 경우가 많다. 현재 공개된 챗GPT의 API 모델은 3.5 버전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많은 양의 데이터를 그대로 입력해서는 원하는 결과물을 얻기 힘들다”고 설명했다.

게다가 인공지능 모델이라고 해서 데이터를 입력하면 이를 모두 원하는대로 분석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거짓 정보를 그럴듯한 것처럼 꾸며내는 ‘환각(hallucination)’ 현상이 문제로 부각된 바 있다. 입력된 데이터를 정확하게 분석하기보다는 데이터와 어긋난 분석 결과를 내놓는 경우가 종종 나타난다.

오 대표는 “자산 투자에 영향을 주는 정보는 뉴스나 SNS에서 사용자들의 반응을 분석하되, 철저하게 객관적인 사실에 기반해야 한다”며 “데이터 수집과 분석 과정은 여전히 실시간 데이터 처리 노하우가 필요한 영역이며, 중간 분석 결과와 문서 작성 방향을 챗GPT에게 지시함으로써 최종적인 문서가 완성된다”고 설명했다.

생성 능력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엔지니어링 기술 필수

랩투아이도 개발 단계마다 보고서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힘쓰는 중이다. 기존의 자연어 생성 기술을 이용해도 AI가 어색한 문장을 만들어내거나, 부정확한 어휘를 쓰는 경우가 많아 개발자가 직접 손을 대야하는 부분이 많다는 것. 하지만 챗GPT를 기점으로 초거대 언어 모델이 도입되면서 보고서와 기사 생성 기술도 재도약기를 맞았다.

오종환 대표는 이준환 서울대 교수 연구실에서 언론사를 통해 송고한 로봇 기사 개발을 주도해왔다. 연구실에서 개발한 알고리즘을 통해 신문 기사를 작성하는 ‘로봇 저널리즘 프레임워크’를 활용해 AI 보고서, 기사 작성 사업을 해왔다. 이를 통해 2018년과 2019년 KBO 퓨처스리그 로봇 기사 사업자 선정, KOTRA 자동 해외 시장 동향 기초보고서 구현, 2020년 KOTRA 무역 투자 빅데이터 플랫폼 고도화·사업 AI 보고서 확장 구현을 진행할 수 있었다.

오종환 대표는 “챗GPT 도입을 원하는 다수의 기업과 업무 협의를 진행 중”이라며 “코싸인 앱에 챗GPT를 활용해 더욱 간편하고 정확한 보고서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